티스토리 뷰
지난 글
https://applecider1002.tistory.com/140
포트폴리오를 뜯어고치겠다고 야심차게 이야기하기는 했는데, 막상 무엇을 어디서부터 해야 할지 생각하니 막막하기 그지없다. (바로 이 막막함 때문에 이자포 스터디 당시에도 초조해하기만 하면서 시간을 흐르는 강물마냥 흘려보냈었다….)
하지만 스터디가 끝나고 피드백도 다 받고 회사도(아주 짧게나마)다녀보고 그새 온갖 AI 관련 오픈카톡방을 기웃대 본 지금은, 부족한 공부 상황을 자책하고 기술적 수준을 걱정할 시간에 문제상황을 빨리 파악해서 해결해야 한다는 걸 안다. 쉽게 말해 발등에 불 떨어진 상황
부끄러워서 다시 열어보기도 싫지만, 개선하려면 적어도 뭐가 문제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.
리드미를 보면서 막연히 '정말 아무것도 안 써놨군' 하는 것과, '빈 공간에 뭘 더 써야 할지' 아는 것과는 다르니까.
그래서 먼저 다음 세 가지 과정을 통해 보완점을 구체화해보기로 했다.
내가 생각한 3가지 해결책 3 steps for problem solving
1. 이자포 스터디에서 받은 코치/동료 피드백 정리해 반영하기
2. 동료가 다른 동료의 포트폴리오에 보낸 피드백 중 필요한 것 반영하기
3. (시간이 있다면) 구글링으로 다른 AI 직군/개발자 포트폴리오 구경하고 참고사항 정리해 반영하기
1. 스터디에서 받은 코치/동료 피드백 정리해 반영하기
우선 세 명의 동료에게 공통적으로 받았던 피드백을 정리해서 다시 읽어보았다.
좋았던 점 전체적인 구성의 가시성이 높고 깔끔한 편이다.
아쉬웠던 점
정보 부족: 전체적으로 read.me에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쓰여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. 특히 프로젝트 기획을 하게 된 배경과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.
시각적 결과물이 적고, 한계와 보완점에 대한 서술은 있지만 그것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 보았는지에 대한 서술이 없다.
정리되지 않은 리포: 중복된 파일이 많고, 깃허브에서 바로 보이지 않아서 다운을 받아야만 읽을 수 있는 포맷인 파일이 많다. (zip, pptx 등)
제안사항 발표 동영상 링크보다는 잘 정리된 read.me를 활용해 CV의 프로젝트 난을 꾸미는 것이 좋겠다.
이어서 코치님의 피드백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.
좋았던 점 기획의도와 진행과정, 가설이 나와 있었다. 발표 자료로 사용한 pdf가 깔끔했다.
아쉬웠던 점 분석 과정과 결과에 대한 설명을 readme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. 보완 가능성이라고 쓰여 있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기술되어 있지는 않다.
대체로 누가 보든 큰 내용은 중첩되는 것 같으니, 동료 및 코치님에게 받은 피드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.
무슨 문제를 왜 기획하고 어떻게 풀어갔는지의 흐름과,
그 과정에서 산출되는 정량지표를 시각적 자료로 표현할 것!
2. 동료가 다른 동료의 포트폴리오에 보낸 피드백 중 필요한 것 반영하기
같이 이자포 스터디를 진행한 분들 중에 정말 풍부하게 조언해준 동료가 있었다. (심지어 나와 같은 기수였음!)
그분이 다른 분에게 보낸 피드백과 나에게 보낸 피드백을 비교해서 읽어보고, 내 포트폴리오가 이미 충족하고 있기는 하지만 새로 소개문을 쓸 때 자칫하면 잊어버릴 수도 있는 점을 추가로 살펴보았다.
그래서 그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.
- 공부하고 싶은 학생의 관점보다는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설명할 것
- 라이브러리나 언어 등 개발환경을 기술할 것
- 데이터세트를 처음 보는 사람도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하게 설명할 것
- 데이터세트의 출처를 꼭 밝힐 것
-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과 모델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 방법을 선택한 이유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것
그래서 오늘은 무엇을 했느냐면
위에서 두 항목에 걸쳐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노션을 활용해서, 각 프로젝트에 사용할 공통 양식을 만들었다.
https://imminent-statistic-7fd.notion.site/readme-f2a24c371be84c53bc8a909744f9e5dc
앞으로 2주간 이 공통 양식을 기본으로 해서 readme를 재작성하고, 그에 맞게 프로젝트의 기술적 측면도 보완해볼 것이다. 물론 중간중간 이 공통 포맷의 세부 항목도 계속 바뀔 수 있겠지만.
프로젝트 소개문(readme) 공통 포맷
최종 수정 2022.07.25.
imminent-statistic-7fd.notion.site
(혹시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 중에서 'readme에 이것이 꼭 들어갔으면 좋겠다'든지, '나는 이렇게 해봤는데 이건 어떠냐'든지 하는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꼭 알려주셨으면 좋겠다!)
'3. 다른 AI 직군/개발자 포트폴리오 구경하고 참고사항 정리해 반영하기'는 일단 프로젝트를 일차적으로 개선해본 뒤에 시간이 남는다면 그때 보완삼아 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서, 다음 글에서부터는 내가 진행한 프로젝트를 실제로 어떻게 수정하고 있는지를 과정 중심으로 써 볼까 한다.
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이 글은 스터디 채널에 올려야겠다!
Special Thanks: 포트폴리오를 피드백해 주신 윤형진 코치님과 이자포 3기 조원 여러분
'일상 > 취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간 점검? 회고? (1) | 2022.09.07 |
---|---|
포트폴리오 뜯어고치는 이야기 02: "전에 그거 어떻게 돼 가고 있어요?" (0) | 2022.08.02 |
포트폴리오 뜯어고치는 이야기 00: 시작하며 (0) | 2022.07.25 |
Internship Experience UK 2022: 지원부터 합격까지 (0) | 2022.06.16 |
6월 첫째, 둘째 주 취준 일기: 포트폴리오 보완&이자포 스터디 1회차 (0) | 2022.06.07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ADsP
- 깃허브
- ADsP합격후기
- 빅데이터분석기사
- googlecolab
- Kaggle
- todayIlearned
- 이자포스터디
- ai부트캠프
- 코테공부
- Til
- 개발자포트폴리오
- 데이터분석
- Notion2Tistory
- 빅분기
- 취업준비
- 자격증
- 자버
- 코드스테이츠
- 인공지능
- 데이터준전문가
- 빅데이터
- 데이터과학
- 데이터준전문가합격후기
- 빅분기합격
- 커리어코칭
- 이력서
- github
- 빅분기후기
- data annotati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